분류 전체보기 71

RTX 3060ti 온라인 판매 등록?!

요근래 NVIDIA RTX 3060 Ti가 온라인 쇼핑몰에 등록되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쇼핑몰에서 GIGABYTE사의 RTX 3060 Ti 2종이 등록되었습니다. 등록된 스펙은 루머로 제기된 스펙과, GPU-Z 유출을 통해 확인된 스펙을 그대로 따라가고 있습니다. 4864 FP32 CUDA, 8GB GDDR6 256bit 14Gbps, TDP 180W가 주요 스펙입니다. 가격은 Eagle OC가 3699 SR, Gaming OC가 3799 SR입니다. 한화로 계산하면 각각 112만/115만원이라는 가격이 나옵니다. 환산했을 때의 가격이 상당히 비쌉니다. 이유는 사우디아라비아의 가격 책정 자체가 상당히 높습니다. 당장 RTX 3080 TUF OC만 해도 6400 SR 정도, 약 194만원에 책정되어 있..

인텔 11/12세대 CPU 샘플?!

중국쪽에서 인텔 11세대 로켓레이크의 엔지니어링 샘플 실물 사진 유출?! 소켓은 10세대와 동일한 LGA1200을 사용합니다. 소식에 의하면, 인텔 11세대의 IHS 구조는 10세대와 다소 다르다고 합니다. 이미 인텔은 10세대에서 CPU 다이의 높이를 줄이고, IHS를 보다 두껍게 하는등, 발열 해소에 보다 유리하게끔 구조를 변경했었습니다. ES이기 때문에 최종 리테일 버전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OEM 및 보드 파트너쪽의 Wccftech 자체 소스에 의하면, 인텔로부터 11세대 로켓레이크 ES를 제공받았다고 전해왔습니다. 현재 다양한 플랫폼 및 구성에서 테스트가 진행중이라고 하네요. 거기에, CapFrameX에 의하면 현재 인텔 11세대 로켓레이크 ES는 싱글 부스트를 무려 5.6G..

Galaxy RTX 3000 시리즈 HoF?!

Galaxy는 이 시국에 맞춰 특별한 행사를 준비하였습니다. 바로 가상 엑스포(Virtual Expo)입니다. 이곳에서 각종 Galaxy 신제품을 구경하고 체험할 수 있다고합니다. 이 엑스포에서 Galaxy RTX 30 시리즈 HoF 라인업의 프로토타입 디자인이 공개되었습니다. 여러분도 이곳에 참여해서 이 프로토타입을 실제로 보실 수 있습니다. HoF 라인업의 아이덴티티인 화이트 슈라우드, 쿨링팬 및 PCB 그리고 각종 값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도 보여집니다. 루머에 의하면 이 RTX 30 시리즈 HoF는 올해 말 혹은 내년 1분기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그래픽계의 끝판왕급에 해당되는 모델이죠 호프~ 킹핀~ 대표적인 브랜드임에 반론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렇지만 가격이 너무 사악하죠....솔직히 ..

AMD RX 6800 벤치마크 점수 Time Spy

AMD RX 6800 그래픽카드 벤치마크가 유출되었습니다. 먼저 게임 벤치마크는 Shadow of the Tomb Raider으로 진행된 스크린샷이 유출되었습니다. QHD/4K에 Ray Tracing High 세팅으로 벤치마크가 진행되었으며, CPU는 Ryzen 5 3500X @4.3GHz였습니다. CPU 조합 자체가 일반적인 구성은 아니여서, 마땅한 비교 자료를 찾지는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참고수준에서는 활용할만한 차트로 TechSpot에서 Ryzen 5 3500X + RTX 2080 Ti를 통해 진행한 벤치마크가 있습니다. Ray Tracing은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 마저도 QHD 해상도 한정이라, 4K 비교 자료는 작성 시점 기준으로는 아직 찾지 못하였습니다. QHD + RT에선 8..

인텔 11세대 cpu 벤치마크 등증?!

Userbenchmark에 인텔 11세대 로켓레이크를 사용한 벤치마크가 등장하였습니다. CPU는 ES(엔지니어링 샘플)이라 정확한 모델명이 기록되지는 않았으나, 사용된 MSI Z590-A PRO 12VO를 통해 이 프로세서가 인텔 11세대 로켓레이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메인보드에서도 특이점이 있습니다. 바로 모델명에 붙은 '12VO'인데요. 12VO는 인텔이 추진하고 있는 새로운 파워 규격입니다. (ATX12VO) 인텔 500시리즈 메인보드부터 본격적으로 이 규격을 추진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벤치마크 비교군으로는 i7 10700K, Ryzen 7 3800XT, Ryzen 9 5950X를 선정하였습니다. Ryzen 9 5950X의 경우 Ryzen 7 5800X 벤치마크가 없어서, Normal ~ H..

AMD RX 6000 시리즈 퍼포먼스 ?!

AMD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최근 발표한 RX 6000 시리즈의 게임 벤치마크 수치를 공개하였습니다. 10종의 게임이 4K 및 QHD 해상도에서 테스트가 진행하였으며, 특히 FPS 수치를 구체적으로 공개한 것이 인상적입니다. CPU 또한 새로운 Ryzen 9 5900X로 진행이 되었기 때문에, 인텔 CPU와의 비교 또한 어느정도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벤치는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실성능 벤치를 바탕으로 표를 만든거 같은데 성능이 상당하죠 지금 까지 봐왔던 라이젠이 아닌거 처럼 말이죠 참으로 놀라울 따름입니다. 젠2에서 젠3 로 1년 정도 된거 같은데 이정도의 성능 향상폭이라니..이제는 amd가 무섭네요 그런데 신기하게도 인텔이 조용히 있다는게 너무 이상합니다. 지금까지 cpu 시장을 주름잡고 있..

Ryzen 5 5600X Ryzen 7 5800X 성능?!

Sisoftware는 최근 Rzyen 5 5600X, Ryzen 7 5800X의 리뷰를 공개하였습니다. Sisoftware 벤치마크는 워크스테이션, 알고리즘 등의 벤치마크입니다. 그러므로 실사와는 다소 동떨어져 있을 수 있습니다. 리뷰에서는 다음과 같은 한 줄 요약 코멘트를 남겼습니다. Ryzen 5 5600X : 모든 종류의 알고리즘에서 Zen 2 대비 15~40% 더 빠릅니다. Ryzen 7 5800X : 모든 종류의 알고리즘에서 Zen 2 대배 25~40% 더 빠릅니다. 요세는 라이젠 cpu때문에 참 정신이 없습니다. 너무 좋은 성능으로 나와도 문제군요 매일 포스팅하고 들려오는 소식이 라이젠 성능이 어마어마하게 좋아졌다는 이야기 뿐입니다. 실상 벤치나 그래프를 봐도 놀라울 따름이죠. 이제는 눈감고도..

제조사별 RTX 3070 제품군 및 가격?!

어느정도 예상은 했지만 아직은 살짝 쬐금 비싼감이?;; 제가 생각했을때 국내에 들어왔을때 가격은 솔직히 맥스 70입니다. 몇몇 상위 라인업들이 가격을 자꾸 높게 하려는거 같은데 그가격에 조금더 보태면 80을 볼수 있는데 어느 소비자가 저 금액을 주고 구매할것인지 솔직히 갸우뚱 하게 됩니다.. 그래픽카드 계열은 아니지만 자동차나 어떤 전자제품이던지 한국만 들어오면 비싸진다고 하는데 다른나라에서는 저렴하게 판매되고 유독 한국에서만 가격이 올라가는 이유가 참...안타깝습니다 언제부터 우리나라가 이런 인식이 자리잡게 되고 사회에 자리 잡게 되면서 아예 그게 기본이 되버린거처럼 베이직입니다 노멀합니다 .평범하게 이런데도 사람들이 구매를 합니다. 저번에도 말한거처럼 내돈내산이라지만 이러면 주머니가 가벼운 다른분들은..

AMD Zen 3 Ryzen 7 5950X 5800X 벤치 유출?!실화?!

Zen 3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AMD Ryzen 9 및 Ryzen 7 프로세서의 벤치 마크 점수가 유출!! AMD 4세대 Zen 3 Ryzen 5000 시리즈는 11월 5일에 출시 됩니다!!!!기대 됩니다!! 성능상으로만 보면 이미 판은 뒤집어 놓은셈이죠. 너무나도 변해버린 성능에 이거 진짜 인가 하는 의구심이 듭니다. 어느정도 인지도 있는 곳에서 나온거라 저도 처음에 볼때는 오잉?! 진짜인가? 이런생각이 들었지만 좀 더 정보를 모아보고 알아가보니 점점 확신히 들기 시작했습니다. 이번 젠3 는 확실히 달라졌구나 젠2 에서 부족했던 부분을 어느정도 커버하려고 한 모습이 잘 보여지더라구요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레이턴시 역시 많이 개선되서 50대 까지 나온다는 말이 있었는데 어마어마한 발전입니다. 인텔도 ..

RTX 3070 JetStream ?!

음 팔릿에서 3070 제트스트림이 나왔는데요...개인적으로... 디자인은... 음... 제트 스트림 답네요....팔릿 제품이야 워낙 기본기가 튼튼하다 보니..... 언제부터인가 모르겠지만 제품에 자꾸 풍을 넣고 있습니다. 제품에 한문을 넣는걸 딱히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냥 밋밋해져버리는거 같습니다. 그냥 영문은 팔릿을 써도 될거 같은 느낌인데 아니면 차라리 저 풍이라는 한자에 LED로 멋지게 표현했으면 어떨까하는 생각도 듭니다. 문득 또 다른 생각이 든게 팬쪽 상하단부는 왜 막았는지 궁금합니다. 공기를 빨아들이려면 차라리 촘촘하게 구멍을 내었거나 그릴 처럼 공기 구멍이 있는게 발열 제어에는 더 좋을거 같은 생각이 드는데 말이죠 ..제조 단가가 올라가서 아마 그렇게 않하는거겠죠? 그정도는..